
💡 탈모 시장이 연평균 7%씩 성장하는 지금,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 글로벌 탈모치료 시장은 2025년 약 4조원 규모로 성장하며, 2030년까지 연평균 7.77%의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국내 제약사들이 주사형 탈모치료제와 AI 신약 개발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탈모치료 시장 현황
글로벌 탈모치료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5년 시장 규모는 29억 3천만 달러(약 3조 9천억원)로 평가되며, 2030년까지 42억 6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2030년까지 연평균 9.01%의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은 2024년 기준 전 세계 탈모치료 특허의 42.9%를 차지하며 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북미 지역은 2024년 시장 점유율 36.05%로 여전히 최대 시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아시아 시장의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시장 성장 요인
50세 이상 인구에서 남성의 50%, 여성의 25%가 남성형 탈모를 경험하며, 고령화와 함께 탈모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환경 요인, 생활습관 변화로 탈모 발생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MZ세대의 치료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국내 탈모치료 관련주 Top 10
| 기업명 | 주요 제품/기술 | 특징 |
|---|---|---|
| 종근당 | CKD-843 (주사제) | 3개월 1회 투여, 임상3상 진행 중 |
| JW중외제약 | JW0061, 핀쥬베 | AI 신약개발 플랫폼 활용, Wnt 신호전달 경로 |
| 대웅제약 | 장기지속형 주사제 | 인벤티지랩, 위더스제약과 공동개발 |
| 안트로젠 | 모유두세포치료제 |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
| 올릭스 | OLX104C | RNA간섭 기술, 호주 임상 1상 완료 |
| 바이오니아 | 모나드, 네오다트 | 경구용 탈모치료제 |
| 현대약품 | 마이녹실 시리즈 | 복합, 쿨, 겔, 경구용 다양한 라인업 |
| TS트릴리온 | TS샴푸 | 홈쇼핑 탈모샴푸 1위 |
| 프롬바이오 | 줄기세포 탈모치료제 |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 |
| 이노진 | 기능성 화장품 | 식약처 탈모 증상 완화 허가 획득 |
주목해야 할 신약 개발 동향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부상
종근당의 CKD-843은 두타스테리드 성분의 주사형 남성형 탈모치료제로, 3개월에 1회 투여로 기존 경구제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2024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3상 승인을 받아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대웅제약과 위더스제약도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에 참여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AI 기반 신약 개발
JW중외제약은 AI 신약개발 플랫폼 '제이웨이브'를 활용해 탈모치료제 JW0061을 개발 중입니다. 이 플랫폼은 400개 이상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와 45,000여 개의 화합물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합니다. 2024년 4월 특허청으로부터 Wnt 신호전달 경로 기반 탈모치료제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습니다.
세포치료제 혁신
프롬바이오와 안트로젠은 줄기세포 기반 탈모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모유두세포를 활용한 자가세포치료제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에피바이오텍의 EPI-001은 2024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어 임상 1/2a상에 진입했습니다.
글로벌 탈모치료제 시장 트렌드
JAK 억제제의 혁신
2024년 7월 미국 FDA는 중증 원형탈모 치료제 듀럭솔리티닙(Leqselvi)을 승인했습니다. JAK 억제제는 모낭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반응을 차단하여 탈모를 억제하는 혁신적인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이자의 리트풀로(Litfulo)도 2023년 FDA 승인을 받아 12세 이상 중증 원형탈모 환자에게 처방되고 있습니다.



저용량 제제 개발
유한양행, 애드파마, 대웅제약, 유앤생명과학은 공동으로 두타스테리드 저용량 정제를 개발하여 최근 허가를 획득했습니다. 기존 캡슐 제제보다 작은 사이즈로 복용 편의성이 개선되었으며, 안전성도 향상되었습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탈모치료 관련주에 투자할 때는 임상 진행 단계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임상3상에 진입한 종근당의 CKD-843처럼 상용화가 임박한 제품일수록 투자 리스크가 낮습니다. 또한 특허 확보 여부와 글로벌 파트너십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정부 정책도 관련주 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2025년 서울시의 MZ 탈모조례안 발의로 안트로젠, 바이오니아, 이노진 등의 주가가 급등한 사례가 있습니다.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이나 치료비 지원 정책은 시장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기업의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성도 검토해야 합니다. 현대약품처럼 복합마이녹실, 마이녹실 쿨, 겔, 경구용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기업은 시장 변동성에 대응력이 높습니다.
시장 전망 및 결론
탈모치료 시장은 2030년까지 지속적인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글로벌 시장은 연평균 7.77%씩 성장하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국내 제약사들이 주사형 치료제와 AI 신약 개발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나노기술, siRNA 치료법, 줄기세포 치료 등 혁신적인 기술이 접목되면서 치료 효과와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신약들이 출시되면서 탈모 인구의 치료 접근성도 높아질 전망입니다.
투자자들은 임상 진행 현황, 특허 포트폴리오, 글로벌 파트너십, 정부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특히 임상3상 이상 진행된 기업이나 이미 제품을 상용화한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핵심 요약
- 글로벌 탈모치료 시장은 2025년 29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7.77% 성장 예상
- 종근당 CKD-843 주사제가 임상3상 진행 중으로 가장 주목받는 신약
- JW중외제약, 대웅제약 등이 AI와 주사형 제제로 기술 혁신 주도
-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연평균 9.01%로 가장 빠른 성장세
- 한국은 전 세계 탈모치료 특허의 42.9% 보유
참고자료
- Mordor Intelligence, "Hair Loss Treatment Products Market Size & Industry Statistics", 2025
- Grand View Research, "Alopecia Market Size, Share & Trends Analysis Report", 2024
- Global Growth Insights, "탈모 의약품 시장 규모 및 공유 2033", 2025
- 주식스토커, "탈모 관련주 TOP 15", 2022
- 팜뉴스, "리트풀로 국내 품목 허가 획득, 국내 탈모 치료제 어디까지 왔나", 2024
- 메디컬타임즈, "급성장하는 탈모 치료제 시장…국내사들 점유율 경쟁 가열", 2024
- 핀업, "탈모 주식 테마", 2024
- 붉은말, "탈모 관련주 TOP15+ 탈모 주사치료제", 2024
면책조항: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당사가 책임지지 않습니다.